미국발 태양광 관세 폭탄, 한국 태양광 산업에 미치는 파장은?

최근 미국 정부가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수입되는 태양광 제품에 대해 고율의 반덤핑 관세(AD) 및 상계관세(CVD)를 부과할 움직임을 보이면서, 국내 태양광 관련주들의 주가가 롤러코스터를 타는 등 시장의 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의 판단에 따라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에서 수입된 태양광 제품이 미국 내 제조업체에 실질적 피해를 주고 있다는 결론이 내려졌기 때문입니다. 이번 조치는 단순히 특정 국가에 대한 무역 제재를 넘어, 글로벌 태양광 시장의 판도 변화를 예고하는 신호탄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미국 상무부는 4개 동남아 국가가 태양광 제품을 덤핑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국가 및 기업별로 6.1%에서 최대 3,521%에 달하는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특히 캄보디아의 경우 조사에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여 최고 수준의 관세가 부과될 예정입니다. 상무부는 중국 기업들이 중국 정부의 보조금을 통해 저렴한 가격으로 제품을 미국 시장에 판매하여 시장 질서를 교란했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미국 태양광 제조업체들의 생존을 위한 자구책의 일환으로 보이며, 이는 지난해 미국 태양광 제조업체들의 모임인 ‘미국 태양광 제조업 무역동맹 위원회’의 청원에 따른 결과입니다.

이번 조치의 여파는 국내 태양광 관련 기업들에게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미국 시장 의존도가 높은 한화솔루션의 경우, 21일 주가가 급등락을 반복하며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증폭시켰습니다. 한화솔루션은 전날 급락했으나, 동남아산 태양광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 소식에 힘입어 이날 4%대 급등하며 롤러코스터 장세를 연출했습니다. 이는 미국 내 태양광 공급 과잉 해소에 대한 기대감과, 세액공제 조기 종료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한화솔루션의 경쟁력을 높게 평가하는 증권가의 분석이 맞물린 결과로 풀이됩니다.

하나증권의 윤재성 연구원은 한화솔루션의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했습니다. 그는 공화당 지도부가 IRA 세액공제의 조기 폐지에 잠정 합의한 것으로 파악되지만, 오히려 이는 중장기적으로 한화솔루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윤 연구원은 미국의 태양광 모듈 시장의 공급 과잉이 빠르게 해소되고, 중국 태양광 모듈 업체의 보조금 수취가 종료되면서 가동률 조정 및 증설 제한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또한, 2028년 IRA 조기 일몰 전에 선제적인 태양광 설치 수요가 발생할 가능성도 언급하며, 한화솔루션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했습니다. 강동진 현대차증권 연구원 역시 AMPC 조기 종료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한화솔루션의 경쟁력을 강조하며, 저가 매수 기회로 판단했습니다.

하지만, 세액공제 조기 종료에 대한 우려 또한 존재합니다. IRA 세액공제의 조기 종료는 정책 불확실성을 높이고, 태양광 관련 기업들의 투자 심리를 위축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한화솔루션과 같이 미국 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기업들에게는 단기적인 실적 악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증권가에서는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한화솔루션의 올해 영업이익이 흑자 전환하고, 2026년에는 큰 폭의 이익 증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며,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는 한화솔루션이 미국 내 유일한 수직계열화를 갖춘 실리콘 기반 태양광 모듈 업체로서의 프리미엄을 유지할 수 있다는 분석에 근거합니다.

결론적으로, 미국의 동남아산 태양광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는 국내 태양광 산업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단기적으로는 주가 변동성이 커지고, 정책 불확실성이 높아질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미국 내 공급 과잉 해소, 경쟁 심화, 그리고 한화솔루션과 같은 경쟁력 있는 기업의 수혜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다만, 급변하는 시장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투자, 그리고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국내 태양광 산업이 글로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입니다.

─ 미국발 태양광 관세 부과로 인해 국내 태양광 관련주들의 주가 변동성이 확대되었습니다.
─ 세액공제 조기 종료 우려에도 불구하고, 증권가는 한화솔루션의 중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 정부와 기업의 적극적인 대응과 지속적인 투자가 국내 태양광 산업의 미래를 결정할 중요한 요소입니다.